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
Data Science Process Data Science란? Data Science란 다양한 데이터로부터 지식과 인사이트를 추출하는 분야이다. 요즘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내가 느끼기에는 크게 아래 두 가지 일을 하고 있는 것 같다. Data를 기반으로 의미있는 인과관계를 이끌어내기 위함 Data를 기반으로 앞으로 일어날 법한 일을 예측하기 위함 예전부터 우리는 과거의 정보나 일부의 정보를 이용해왔지만, 그때는 지금과 같이 성능 좋은 기계가 없었기에 다소 제약이 있었다. 최근 computing power의 향상으로 인해 그러한 제약이 무너지며 데이터를 조금 더 자유롭게 다룰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의 변동에 의해 Data Science라는 분야가 나타났을 뿐, 없던 학문이 갑작스레 나타난 것은 아니다. Data Scienc..
티스토리 font 변경 기존 font 변경하기 가장 간편한 방법은 Google Fonts에서 폰트를 고르는 방법이다. 위 사이트로 접속해서 Korean을 검색 후 해당 폰트 중 마음에 드는 폰트를 사용하면 된다. 현재 Google Fonts에서 제공하는 폰트 중, 블로그의 일반적인 내용을 서술하기에 적합한 폰트는 아래와 같다. 이 이외의 글씨체는 너무 두껍거나, 가독성이 좋지 않아 선택지에서 제외했다. 추가로 따로 웹 상에 풀려있는 두 글씨체도 첨부한다. 손글씨도 몇 가지 적용해봤지만 따로 마음에 쏙 드는 폰트가 없었다. 역시 블로그 포스팅처럼 글을 나열해서 쓸 때는 고딕같이 깔끔한 서체가 좀 더 신뢰감이 가니까. 앞으로 더 끌리는 폰트가 있으면 추가할 수도 있을 것 같지만, 현재로서는 이게 최선으로 보인다. 현재 블로그는 본..
티스토리 코드블럭 바꾸기 Codeblock Thema 세팅 highlight.js같은 다른 방법도 존재하지만, 기본 테마로도 충분한 것 같아 티스토리에서 제공해주는 플러그인을 사용했다. 종류는 아래와 같다. 언제든지 쉽게 변경할 수 있으니, 저장해놓고 질릴 때마다 끌리는 걸로 바꾸면 될 것 같다. Small Block CSS 수정 그런데 이렇게 하고 보니 이 상자 가 에디터에서는 잘 나오는데, 글을 저장했을 때는 제대로 표현이 안 되는 문제가 있다. 나는 딱 에디터에 나오는 것처럼 표시하고 싶은데.. 이 부분은 따로 css를 편집해야 한다고 해서, 방법을 찾아 수정해줬다. 블로그 관리 → 스킨 편집 → html 편집 → CSS 로 이동해서, 아래 코드를 아무 곳에나 Ctrl-C, V 해준다. p > code { border: 1..
티스토리 블로그에 TOC 적용 TOC 목차(Table Of Contents). 내가 등록한 목록/글 외에 글 내부 내용에 대해서 알아서 목차를 생성해주는 기능이 있다니.. 당연히 바로 추가해줘야지 라는 마음으로 서치 시작. html 코드 수정 난 늘 수정할 위치 찾는 게 제일 어렵더라.. 글을 html로 작성하면서 각 글마다 이 귀찮은 소스 추가를 해줘야 하나?라는 생각을 하면서 적용시키려던 찰나, 다행히 마크다운으로 작성된 모든 글에 적용되는 부작용(?)을 얻었다는 글을 참조해서 진행할 수 있었다. 1. 블로그 관리 -> 스킨 편집 -> html 편집 이동 위의 경로를 따라, 스킨의 html 코드가 있는 페이지로 이동한다. 2. script, css 적용 바로 위에 아래 코드를 붙여 넣는다. 사실 기본 tocbot 사이트에는 bod..